본문 바로가기

일상생활정보/일상생활꿀tip.

도시가스 캐시백 신청 바로가기 (+참여대상, 절약방법)

반응형

한국 가스공사에서 전국민을 대상, 동절기 도시가스 사용량 감축을 위해 캐시백 제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오늘 포스팅에서는 도시가스 캐시백 및 지원대상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 게시글을 끝까지 읽어주신 분들은 동절기 도시가스 캐시백 제도 그리고 지원대상을 알아두시는 데에 좋을 것입니다. 도시가스 캐시백 및 지원대상 그리고 신청기간등에 대한 정보가 필요하신 분들은 모두 읽어주세요. 이제 아래쪽에서 도시가스 캐시백 및 지원대상을 알려드리겠습니다.

 

도시가스 캐시백

 

 

 

도시가스 캐시백 제도. 

한국 가스공사와 도시가스 협회가 공동으로 12월부터 내년 3월까지 가스 사용량을 줄이게 되면 캐시백을 해주는 도시 가스 수요절감 프로그램인 캐시백 제도를 시행합니다. 전년도 사용량 보다 7% 이상 절약하게 되면 이를 캐쉬백으로 돌려주며, 주택난방용 / 중앙난방용 드시가스 요금제를 사용하는 누구나 신청 참여가 가능합니다. 

 

반응형

 

도시가스 캐시백 참여대상 및 관련정보.

 

  • 참여대상 : 주택난방 · 중앙난방 도시 가스 요금제를 사용하는 누구나 참여 가능. 
    단, 난방 목적이 아닌 취사용 요금제 사용자, 전출 세대등 전년도 사용량 자료가 없는 세대는 참여불가. 

  • 신청 기간 : 2022년 12월 ~ 2023년 1월 (2개월간) 
  • 절약 기간 : 2022년 12월 ~ 2023년 3월 ( 2023.1월 ~ 4월 고지서 발행분) 
  • 캐쉬백 지급시기 : 2023년 6월 ~ 7월
  • 도시백 캐시백 지급 기준 : 전년 동기간 대비 7%이상 절감율별 차등 지급. 절감율이 클수록 캐쉬백이 높아짐. 

예시 )
21년 12월 사용량 - 120㎥,  22년1월 사용량-150㎥, 22년 2월 사용량-200㎥, 22년 3월 사용량-100㎥
22년 12월 사용량 - 100㎥,  23년 2월 사용량-130㎥, 23년 2월 사용량-170㎥, 23년 3월 사용량-80㎥
전년도 사용량 = 570㎥ / 올해 사용량 = 480㎥ 절감량 = 90㎥ => 15% 절감 성공 캐쉬백 지급
캐쉬백 지급액 = 90㎥ × 70원 = 6,300원

 

 

 

도시가스 캐쉬백 신청 바로가기 

  • 도시가스 캐쉬백 홈페이지접속. 
  • 일반 가정집은 개인회원 선택 (1인 1계약번호로만 신청가능) 
  • 본인인증을 통한 회원 로그인 (기본정보 입력) 
  • 도시 가스 고객정보 입력 (고객식별번호의 경우 도시가스사 홈페이지내에서 조회가능) 
    고지서 좌측 상단을 통해서도 확인 가능. 
  • 캐쉬백 신청 클릭 시 가입확인서 확인. 

☞캐쉬백신청 바로가기

 

 

도시가스 절약 방법. 

실내 온도를 1도만 낮춰도 7%의 요금을 낮출 수 있습니다. 실내 적정 난방 온도를 18~20도 그리고 적정 습도를 40~65도 유지, 온수의 적정 온도는 40도로 설정하게 되면 도시가스를 절약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1. 실내 적정 난방온도. 
    - 18˚ ~ 20˚c 설정이 난방비를 절약하기 가장 좋습니다. 20˚c에서 1˚c씩 올라갈 때마다 난방비가 무려 15% 이상 상승하게 되며, 높은 온도로 난방을 하다가 덥다고 느껴 보일러를 끈 후 다시 재가동 시킬경우 가스 소비량이 큽니다. 

  2. 적정 습도 40~60% 유지.
    - 보일러 가동과 함게 가습기나 젖은 수건을 활용 적정 습도를 유지해 줍니다. 실내의 경우 적정 습도를 40~60%로 유지할 경우 열 전달이 빨라져 집안 내부 온도를 빠르게 상승 시킬 수 있습니다. 

  3. 적정 온수 40˚c 설정. 
    - 가정에서 가스비가 가장 많이 나오는 경우가 바로 온수 온도를 최고로 설정, 강한 수압을 사용하는 겁니다. 온수 온도를 약이나 중으로 설정 및 40˚c 유지시 물을 데우는 에너지를 절약하고 물 낭비를 줄일 수 있습니다. 온수 사용 이후 냉수 쪽으로 수도꼭지를 돌리게 되면 불필요한 공회전이 발생합니다. 

  4. 보일러 외출 기능 사용하기 
    - 보일러를 완전히 끄게되면 일정 온도까지 재가동 하는데 더 많은 에너지가 소비 됩니다. 이러하기에 외출 기능을 활용하게되면 적정 온도를 유지하면서 도시가스를 절약할 수 있습니다. 보통 10시간 이내로 집에 귀가시 외출 모드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아침 최저기온이 - 12˚c 이하로 내려가는 일이 2틀이상 지속 될 시 외출 기능대신 15~17˚c로 실내 온도를 설정 하게되면 동파를 막을 수 있으며 집안의 어느정도 온기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5. 보일러 난방 밸브 조정. 
    - 온도 조절기는 잠김 상태에서도 미세한 열 공급이 이뤄지기에 사용하지 않는 방의 밸브는 잠근 후 주 차단 밸브를 일부 닫힘 위치로 조절하는것이 바람직 합니다. 

 

모아서 보기

  1. 도시가스 캐시백 신청기간 - 2022년 12월 ~ 2023년 1월 (2개월간) 
  2. 도시가스 캐시백 참여대상  - ‘주택난방용/중앙난방용’ 도시가스 요금제 사용자는 누구나 참여 가능.
  3. 도시가스 캐시백 신청방법 - 위 포스팅 참조 

 

 

함께 보시면 좋은 게시글

 

폐가전제품 무상수거 예약 바로가기 (+수거품목 확인)

새로운 가전을 구입시 기존 사용하던 제품을 버릴때 어디에 내놓아야되나 신고는 어떻게 해야되나 비용은 얼마나 들까 다양한 고민들을 합니다. 오늘 포스팅에서는 빠르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middo.tistory.com

 

온누리 상품권 10% 할인(+판매처 및 사용처)

중소벤처기업부에서 12월 1일부터 온누리 상품권 특별 할인 판매가 시작되었습니다. 오늘 포스팅에서는 온누리상품권 10%할인 기간 및 판매처, 사용처 를 공유해드리겠습니다. 이 자료를 전체적

middo.tistory.com

 

 

 

도시가스 캐시백 및 지원대상을 알아보았습니다. 읽어보니 어떠신가요? 다른 정보도 궁금하시다면 위의 글들을 참고하세요.

반응형